Q&A

질문합니다

정인규

9일 전

4901

Vm을 두개로 나눈다음

하나는 윈도우서버 하나는 리눅스서버로

만들수잇어여?

댓글 1

관리자9일 전

한 대의 물리 서버(또는 기존 VM) 안에 Windows Server와 Linux Server를 동시에 운영하고 싶다면

  • “하나의 VM을 두 개로 나눈다” 라는 방식은 직접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.
  • 대신 하이퍼바이저(가상화 관리 프로그램) 위에 두 개의 독립적인 가상 머신(VM) 을 만들면 됩니다.
아래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시나리오(Windows Server 2019 + Ubuntu 22.04)와 구현 절차를 단계별로 설명합니다.

1. 하이퍼바이저 선택

특징
Hyper‑V (Windows Server)Windows에 내장, GUI·PowerShell 지원Windows Server에 포함
VMware ESXi엔터프라이즈 급, 풍부한 관리 툴무료(기본) / 유료(고급)
Proxmox VE (KVM+LXC)오픈소스, 웹 UI, 컨테이너 지원GPL
VirtualBox데스크톱용, 가벼움오픈소스(Free)
이미 Windows Server가 설치된 물리 서버라면 Hyper‑V 를 바로 활성화하는 것이 가장 간단합니다.

2. Hyper‑V 활성화 (PowerShell 예시)

# 관리자 권한 PowerShell 실행
Install-WindowsFeature -Name Hyper-V -IncludeManagementTools -Restart

위 명령으로 Hyper‑V 역할을 설치하고, 재부팅 후 Hyper‑V 관리자 콘솔이 나타납니다.


3. 두 개의 가상 머신 생성

(1) Windows Server VM

# 가상 스위치 생성 (외부 네트워크 연결)
New-VMSwitch -Name "ExternalSwitch" -NetAdapterName "Ethernet" -AllowManagementOS $true

# VM 생성
New-VM -Name "WinSrv01" -MemoryStartupBytes 4GB -Generation 2 -SwitchName "ExternalSwitch"

# 가상 디스크 추가 (예: 60GB)
New-VHD -Path "C:\HyperV\VirtualHardDisks\WinSrv01.vhdx" -SizeBytes 60GB -Dynamic
Add-VMHardDiskDrive -VMName "WinSrv01" -Path "C:\HyperV\VirtualHardDisks\WinSrv01.vhdx"

# ISO 마운트 (Windows Server 설치 미디어)
Set-VMFirmware -VMName "WinSrv01" -EnableSecureBoot Off
Add-VMDvdDrive -VMName "WinSrv01" -Path "D:\ISO\WindowsServer2019.iso"

# 자동 시작 설정 (선택 사항)
Set-VM -Name "WinSrv01" -AutomaticStartAction StartIfRunning

(2) Linux VM (Ubuntu)

# VM 생성
New-VM -Name "Ubuntu01" -MemoryStartupBytes 2GB -Generation 2 -SwitchName "ExternalSwitch"

# 가상 디스크 추가 (예: 30GB)
New-VHD -Path "C:\HyperV\VirtualHardDisks\Ubuntu01.vhdx" -SizeBytes 30GB -Dynamic
Add-VMHardDiskDrive -VMName "Ubuntu01" -Path "C:\HyperV\VirtualHardDisks\Ubuntu01.vhdx"

# ISO 마운트 (Ubuntu 설치 미디어)
Add-VMDvdDrive -VMName "Ubuntu01" -Path "D:\ISO\ubuntu-22.04-live-server-amd64.iso"

# 부팅 순서 설정
Set-VMFirmware -VMName "Ubuntu01" -FirstBootDevice (Get-VMHardDiskDrive -VMName "Ubuntu01")

위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두 개의 가상 머신이 각각 할당된 메모리와 디스크를 가지고 생성됩니다. 이후 콘솔에서 OS 설치 과정을 진행하면 됩니다.


4. 리소스 할당 시 주의점

  1. CPU 코어RAM은 호스트(물리 서버)의 총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나눠야 합니다.
- 예: 물리 서버에 8코어, 32 GB RAM이 있다면 WinSrv01에 4코어·8 GB, Ubuntu01에 2코어·4 GB 정도 배분하고, 나머지는 여유롭게 남겨두세요.
  1. 디스크 I/O네트워크 대역폭도 두 VM이 동시에 사용할 경우 병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필요 시 스토리지 QoS가상 스위치에 VLAN을 적용해 트래픽을 구분합니다.
  2. 백업은 각각의 VM 파일(.vhdx)을 스냅샷이나 이미지 형태로 정기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 Hyper‑V에서는 Export-VM 명령을 활용합니다.
Export-VM -Name "WinSrv01" -Path "D:\Backup\WinSrv01"
Export-VM -Name "Ubuntu01" -Path "D:\Backup\Ubuntu01"

5. 운영 중 흔히 마주치는 상황과 해결책

원인
VM 부팅이 안 된다부팅 순서가 ISO에 고정Set-VMFirmware -FirstBootDevice (Get-VMHardDiskDrive -VMName ...) 로 하드디스크 우선순위 변경
네트워크 연결 안 됨가상 스위치가 외부와 연결되지 않음Get-VMSwitch 로 스위치 상태 확인 후, 물리 NIC와 바인딩 재설정
CPU 사용량 급증한 VM에 과도한 작업 부하Set-VMProcessor -Maximum 80 등으로 CPU 제한 적용
디스크 공간 부족동적 VHD가 실제 물리 디스크 가득참Resize-VHD -Path ... -SizeBytes 80GB 로 확장 후 OS 내 파티션 확대
---

결론

  • 하나의 VM을 물리적으로 “두 개로 나눈다” 는 불가능하지만, 하이퍼바이저 위에 두 개의 독립적인 VM을 만들면 Windows Server와 Linux Server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습니다.
  • 위 예시(Hyper‑V + PowerShell)는 가장 기본적인 흐름이며, VMware ESXi나 Proxmox 등 다른 하이퍼바이저에서도 비슷한 단계(하이퍼바이저 설치 → 가상 스위치 → VM 생성 → OS 설치)만 따라 하면 됩니다.
필요한 리소스를 충분히 확보하고, 각 VM에 적절히 메모리·CPU·디스크를 할당한다면, 하나의 물리 서버(또는 기존 VM)에서 두 운영체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.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 추가 질문 주세요!